티스토리 뷰

Unfold X 2021

장소: 동대문디자인플라자 M배움터 2층 디자인 뮤지엄
기간: 2021/11/15~2021/11/28
주최: 서울문화재단, 서울디자인재단
주관: 서울문화재단
협업기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파라다이스문화재단, LG유플러스
홈페이지: unfoldx.org


한국의 미디어아트를 지원하고 예술가를 발굴하는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다빈치 크리에이티브’가 2020년부터 ‘언폴드 엑스’로 이름을 바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융합예술 분야를 지원하는 페스티벌로 변모했다. ‘다빈치 크리에이티브’는 한 번도 가 보지 못했지만, 금년도 ‘언폴드 엑스’에서 관심 있던 작품이 있어 방문하게 되었다.
‘언폴드 엑스’의 전시 프로그램인 ‘Unfold X’는 M배움터 2층 디자인뮤지엄 내에서 모든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외부와 지하 2층에 설치 중인 살바도르 달리전의 화려한 포토존에 속지 말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곧장 2층으로 올라가자.

 

허수아비 H (K’ARTS AT LAB x LG유플러스)

크리에이터 ㅣ 이승무
감독 ㅣ 이승무, 정지현

선댄스 영화제에 출품됐다고 해서 관심이 있던 작품이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랩(AT랩)이 제작한 융복합 공연으로, VR을 사용해 메타버스에서 직접 공연을 관람하는 요즘 한창 핫한 포맷이다. 들어가면 우선 내 사진을 찍어서 게임 속에서 나타날 내 아바타를 만들고(1인칭이라 게임 중에 내 모습은 볼 수 없다. 체험이 끝나고 나면 내 아바타의 포토카드를 주는 점이 좋았다), 컨트롤러 조작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VR헤드셋을 쓰고 컨트롤러를 손에 쥐게 된다.
내용은 이렇다: 불새가 침략해 허수아비들의 심장을 뽑아먹고, 심장을 지킨 단 한 명의 허수아비를 빼고 모두 죽은 듯 잠들어있게 된다. 잠에서 깨어난 허수아비 H(아마 Heart가 아닐까 싶다. 또는 Hero일지도?)는 플레이어들과 함께 불새에 맞서 허수아비들의 심장을 구해주려 한다.
모델링은 조악한 수준이지만 실감은 꽤 난다. 고개를 360도 어디로 돌려도 게임세계가 보이고 언덕을 올라가면 나는 가만히 있는데도 오르막길을 올라가는 느낌이 난다. 러닝타임 20분의 대부분은 우선 세계관 및 주인공 허수아비와 친해지는 데 사용된다. 3명의 관객과 함께 허수아비 역의 배우, 게임 속 지시사항을 도울 가이드가 실시간으로 함께 공연에 참여하는데(심지어 가이드 역의 배우는 제주도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참여 중이셨다) 특정 상황에서 허수아비 배우와의 물리적 접촉이 있을 거라고 예상은 했지만 실제로 손이 닿으니 느낌이 새로웠다(나도 모르게 당연히 사람 손을 생각했는데 허수아비의 짚 감촉이 나서 매우 놀랐다). 왜 100% VR이 아니라 실제적인 접촉과 실시간 액팅을 자꾸 접목하려 하는지 이해되는 기분… 그 외에 플레이어는 컨트롤러를 이용해 물체를 집어서 그림을 그리고, 총을 쏘듯이 트리거를 누르는 기본적인 수준의 체험을 하게 된다. 초반에 그림 그리며 노는 시간에 비해 불새를 무찌르는 클라이맥스가 너무 싱겁게 끝나서, 오히려 비중을 그쪽에 더 뒀으면 했다. 매우 단순한 그래픽과 내러티브임에도 물리적인 공간에 분명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지만 게임 속 세계밖에 보이지 않는 VR의 관람환경 덕에 생각보다 긴장도와 몰입감이 높았다.
다만 VR기기와 헤드셋까지 착용하면 상당히 무겁다. 그리고 나는 원래 3D멀미가 있어서 화산이 폭발하며 불새가 나타나는 장면 쯤부터는 그저 공연이 빨리 끝나기를 빌었다. 또 모델링이… 남자 가이드는 몸 라인 노출이 전혀 안 되는 갑옷을 입은 반면 여자 캐릭터(관람객 3명이 모두 여자였다)들은 늘씬잘록해서 역시 국산게임이라는 생각이 들었달까?ㅎ 집에 VR기기가 없어서 이런 새로운 형태의 공연을 체험해 볼 기회가 없으므로, 관람 경험은 만족스러웠다.

 

Peach Garden

파라다이스문화재단 ㅣ 권하윤

그림 ‘몽유도원도’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VR컨텐츠로, VR기기를 쓰고 시시각각 변하는 환상 속 공간을 거닐 수 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다 회오리 바람 안으로 들어가면 다른 공간으로 변한다(이게 너무 신기했다! 로딩창 속의 게임 캐릭터가 된 기분). 정해진 공간을 이탈하거나, 다른 관람객 등 방해물이 있으면 흰색으로 변하니 피해가면 된다. 내 마음대로 페이스를 조절하며 관람할 수 있어서 마음에 들었다. ‘허수아비 H’와 마찬가지로 영화와 맞먹게 그래픽이 좋아진 요즘 게임들에 비하면 그래픽은 단순하지만 붉은 사막, 절벽 위로 떠오르는 삼각형 모양 태양 등 마음에 드는 풍경들이 있었다. 전시 프로그램의 하나로 실제 그림을 3D VR로 제작하여 그림 속 풍경을 거닐게 하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하다.

 

왼쪽, 오른쪽

국립아시아문화전당 ㅣ 입육위

왼쪽과 오른쪽, 즉 진보와 보수라는 정치적 방향감각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참여형 미디어 아트이다. 두 개의 스크린 앞에 각각 버튼이 한 쌍씩 있고, 화면에서 나온 그림 또는 단어가 진보를 뜻하면 왼쪽, 보수를 뜻하면 오른쪽을 누르면 된다. 왼쪽은 특정 정치적 단어에 대해 관객이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수집하는 게임이라던데 플레이해 보지는 못했고, 오른쪽은 청기백기 게임처럼 정치적 개념 또는 방향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단어가 나열된 순서를 외워 누르는 게임이다(오른쪽의 반대, 민영화, 파시즘 이라는 단어가 나왔다면 왼쪽, 오른쪽, 오른쪽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된다). 국가에 의해 특정 정치성향을 강요 받는 홍콩의 정치적 상황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라고 들었다.

 

Mitorix Part Q - Hop into the mitonet

김나희

실물 책과 미디어 아트 전시로 이루어진 작품으로, 항상 여성의 목소리와 형태로 등장했던 여성 정체성 사이보그의 역사를 돌이켜보며 여성의 모습을 한 사이보그들이 어떻게 마케팅의 도구로(챗봇, 섹시한 검색보조 AI), 쉽게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로(비서 AI, 리셉셔니스트 AI), 때로는 적나라한 욕망의 도구로(섹스돌) 이용되어 왔는지 돌아본다. 군인의 트라우마 상담이나 정신질환 상담을 위한 여성 AI들도 있었지만 여전히 돌봄 서비스를 여성에게 지운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고, AI모델이나 챗봇은 성희롱을 피해간 사례가 없었다. 어떤 섹스돌들은 인터랙션하며 섹스할 수 있게 AI가 내장되어 나오고, 섹스돌이 망가질 정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자 강압적인 성폭행을 당할 때에는 AI를 자동으로 꺼버리는 기능을 탑재한 섹스돌도 있다고 한다… 죽어라 그냥. 내 세상에 여성 모습의 안드로이드는 필요하지 않다. 왜 항상 AI를 여성의 목소리로 만들고(원래 VA(Voice Assistant)연구는 남성 중심이라 인공 음성은 모두 남자 목소리였다고 한다. 여성 목소리는 일종의 마케팅이자 서비스로 나오게 됐다) 여성들이 주로 일하는 리셉셔니스트, 비서 등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일자리를 그대로 대체하는지, 그리고 폭력적이거나 불쾌한 발화에도 순종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는 AI가 실제 여성을 대할 때 어떤 영향을 끼칠 지 등에 대해서 다룬다(이루다도 언급된다). 바비 인형 등 어린아이들이 갖고 노는 인형에도 아이의 말에 반응하는 AI를 탑재하려 했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개인정보 침해나 과도한 영향력 등으로 인해 출시되지 못했지만.



Future You

Universal Everything

모션 캡쳐로 나의 움직임을 인식해서 스크린 상에 나의 움직임을 모방한 형태를 띄워준다. 특이한 점은 시간이 지날수록 내 움직임에 진화해서 요컨대 관절이라고 할 만한 부분들이 더 늘어나서(‘진화’해서) 원본인 나를 넘어서는 형상을 보여준다. 최근에 키네틱 렌즈 등 모션 캡쳐를 활용한 작품을 몇 번 봤었는데 이 작품은 마치 머신러닝처럼 점점 변화한다는 점에서 특이했다. 다만 변하는 그 형태가 너무 징그러웠다… 기생수를 보는 기분.

 

옥꽃을, 이 호박은 솟아라

서울오픈미디어

이기뭐꼬… 했는데 인공지능 무당이 이끄는 미래의 제례의식이라고 한다. 크레인, 사다리, 지미 리프트 같이 생긴 것들이 빙빙 돌고 있길래(소음도 많이 났음) 아 그렇구나… 했는데 음악과 포그가 나오는 뭔가의 퍼포먼스가 있는 것 같다…



이 외에도 몇 점의 미디어 아트와 VR 체험 프로그램들이 더 있었다. 처음 전시장에 들어서면 내가 과학전시관에 온 것인지 예술작품을 보러 온 것인지 헷갈릴 정도(융복합의 의미가 이런 거지만 말이다!)… 요즘 공연에 VR을 접목시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는데 아직 보편화된 정도는 아니지만, 코로나19의 영향 및 비교적 전통적인 매체의 반열로 들어서고 있는 공연예술이 스펙트럼을 확장하려면 꼭 필요한 시도인 것 같기는 하다. 다만 나는 연속된 VR 체험과 번쩍거리는 프로젝션으로 내내 두통에 시달렸다… 나는 과연 미래에 있었다. 그리고 미래의 나는 (여전히)멀미하고 있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